[스크랩] 국악 사이트 ★기관 ★ ▶ 국립국악원 http://www.ncktpa.go.kr 국립국악원소개, 공연 및 국악활동, 국악교실, 간행물, 국악자료, FM방송 안내 ▶ 문화관광부 http://www.mct.go.kr 남북통합문화관, 사이버문화관, 한국문화공간안내, 한국의지역축제, 문화관광법령, 민원도우미 문화인물, 가족문화정보, 이달의 세시풍속, 문화체.. 수업 자료실/우리 나라 음악 2008.07.19
[스크랩] 세령산 / 해금독주 금강산 세령산 / 해금독주 영산회상은 원래 ‘영산회상 불보살’이란 짤막한 가사를 붙인 불교음악인데 조선후기부터 기악곡형식으로 발전해 오늘에 이르렀다. 영산이란 인도에 있다는 영취산으로 부처님이 제자들과 함께 공부를 하던 산이름이라고 한다. 부처님의 공덕을 기리기 위해 만들어진 음.. 수업 자료실/우리 나라 음악 2008.07.10
[스크랩] 대취타 취타, 대취타(大吹打) 대취타(大吹打) 1 감상자료 취타는 글자 그대로 불고 치는 악기들이 중심이 되는 형태의 음악을 말한다 . 원래의 취타인 대취타를 관현악곡으로 편곡한 곡이 지금의 취타인 만차정식지곡이다 옛 악보의 하나인 <삼죽금보>에 의하면 거문고는 4괘,5괘. 6괘. 7괘.등 자유롭게 그 .. 수업 자료실/우리 나라 음악 2008.07.10
[스크랩] 종묘제례악 (宗廟祭禮樂) / 중요무형문화재 제1호. 종 묘 제 례 악(宗廟祭禮樂) < 중요무형문화재 제1호 > 헌가 등가 일무(문무) 일무 종묘제례악은 조선시대 역대 왕과 왕비의 신위를 모신 사당(종묘)에서 제사(종묘제례)를 지낼 때 무용과 노래와 악기를 사용하여 연주하는 음악을 가리키며, "종묘악"이라고도 한다. 종묘제례의식의 각 절차마다 보.. 수업 자료실/우리 나라 음악 2008.07.10
[스크랩] 풍물(風物) 풍물놀이는 풍물, 굿, 농악, 매구, 풍장, 두레, 농기, 풍물굿과 같은 의미이다. 한가지 행위를 표현하는 말이 이렇게 여러가지인 것은 지방별 방언이거나 쓰임이 달라질 경우 표현도 달라졌는데 그 중에서 풍물놀이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것으로 그 의미를 굳힌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풍장, 두레, 두.. 수업 자료실/우리 나라 음악 2008.07.10
[스크랩] 풍물굿의 개념과 용어 - 농악/굿/사물놀이 풍물굿의 개념과 용어 일반적으로 풍물굿이라 하면 쇠, 징, 장고, 북 등의 악기들을 사용하여 판을 구성하고, 춤을 추거나 놀이를 베푸는 총체적 연희형태를 말하는데, 관객과 잘 어우러져 신명나게 놀 수 있는 공동체적 판의 구성이 이루어질 때 그 의의를 가질 수 있다. 풍물굿의 현장용어에는 굿, 매.. 수업 자료실/우리 나라 음악 2008.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