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철 타건..........
월간 객석심사 위원이 선정한 ..
20세기를 빛낸 Pianist .. Best 10 ..
제5위에 오른 에밀 길레스...
제가 생각해 보아도.... 브람스정도의 육중한 체구와
큰 손을 능가하는 길레스 이었나 보네요..
차이콥스키 피아노 협.1번..동영상을 보면...
땀을 줄줄 흘리면서도...
진지하게 연주하는 모습을 보면... ..
육중함 속에서도 섬세함의 속살이 보여지는 듯 합니다

5. 에밀 길렐스(1916∼1985)
네이가우스 문하의 두 피아니스트, 리히테르와 길렐스가
20세기 후반에 이르러 높이 평가받는다는 것은 역시
그 스승의 영광이기도 하면서 러시아 피아니즘의
영광이기도 할 것이다.
길렐스는 리히테르보다 한 해 늦게 우크라이나의
오데사에서 태어났다.
그는 어릴 때부터 발군의 기량을 선보여 17세 때인
1933년, 전 소비에트 콩쿠르에서 1위를 차지했다.
그때까지 길렐스는 천부적인 재능과 손가락의 힘과
테크닉을 향상시키는 철저한 훈련이 합일점을 이루어
탄생한 사회주의 예능 교육의 성공작으로서
인식되고 있었다....
만일 거기에 머물렀으면 연주기계로 전락하는 비극이
일어날 수도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그는 다행히 네이가우스를 만났다.
1935년부터 모스크바 음악원에서 그에게 배우게 된 것이다.
게다가 구소련이 자랑스럽게 내놓는 강철 같은 타건과
테크닉을 지닌 청년 피아니스트의 자격으로 서방세계의
콩쿠르에도 나갈 기회가 주어졌다. ....

그래서 그는 정책적으로 서방에 소개되기 시작했고,
2차 세계대전 이후 냉전구도의 형성으로 ‘철의 장막’이
쳐진 이후에도 한동안
유일하게 서방을 오가며 연주를
할 수 있는 구소련의 연주가였다.
한국전쟁이 끝날 무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