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꽃방/소안 김정수(음악)

피아노와 간단한 타악기들을 위한 ‘모자이크’

풀꽃(muse417) 2008. 8. 19. 01:27


 작곡 :  김정수 (金貞洙 1936~1999)

 

1990년에 전남 음악상을 수상, 1991년에 전라남도 문화상을 수상했다.

 

논문 및 저서로는 안봉현과 공역한 <기초지휘법>(삼호출판사, 1989),

 

저서로 <합창편곡집>(삼호출판사, 1990),

 

논문으로 <현대사회에 있어서 음악교육의 방향>(예총 전남지부, 1994)을 썼다.  

 
초연년도 : 1997년 5월 30일 
 
  
<내용>
 

 이 곡은 기법 면에서는 서양음악의 기법을 이용하였지만

 

음악적 언어면에서는 울의 정서를 바탕으로 만들어져 있다.

 

음계는 주로 C, C#, F, F#, A, A# 등 6음으로 구성되었다.

 

음정은 단 2도, 증감 4, 5도를 주로 사용했으며

 

화성의 구성 또한 이들 음정들로 구성되어있다.

 

처음에 이 곡은 피아노와 간단한 여러 타악기들을 위한 작품이었다.

 

곡의 구성은 모음곡 형식으로 작곡되어 있고,

 

곡명을 ‘모자이크’라 한 까닭은

 

지금까지 작곡가가 작곡했던 여러 곡들 중에서 일부를 발췌하여 재구성했기 때문이다.


음의 높이와 리듬이 정확하지 않아도 무방하며 긴장감이 나도록 연주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타악기의 연주는 곡의 효과를 위해 연주자가 임의대로 바꿔도 무방하며

 

리듬도 약간 변형되어도 무방하다.

 

사용되는 타악기는 Snare drum, Wood block, 트라이앵글(Triangle), 심벌즈(Cymbals)이다.
 
  
   
<작품목록>
 
 
관현악


1. 무등의 빛 (1989년)

 

기악곡
1. Clarinet을 위한 (1971년)


2. 도라지 주제에 의한 <6개의 변주곡> (1971년)


3. 목관5중주를 위한 <2개의 무언가> (1975년)


4. 목관5중주와 현악 합주를 위한 협주곡 (1975년)


5. 목관4중주를 위한 <어느 일요일> (1976년)


6. Violin과 Flute을 위한 <산조> (1978년)


7. 현악4중주 No. 1 <고찰풍경(古刹風景)> (1978년)


8. Flute와 현악4중주를 위한 <염(念)>


9. Trumpet 2중주 <봄> (1980년)


10. Fl, Cl, Pf를 위한 (1983년)


11. 가야금을 위한 <무등의 사계> (1983년)


12. Flute, Cello, Piano를 위한 <산조> (1985년)


13. Violin과 Piano를 위한 <1983.9.1> (1986년)


14. Violin과 Piano를 위한 <아라리요> (1986년)


15. Trombone과 Piano를 위한 <만남> (1983년)

 

16. Cla., Fag., Piano를 위한 (1989년)


17. Clarinet을 위한 3개의 가락 (1991년)


18. Piano를 위한 3장 <전원> (1991년)


19. Flute과 타악기를 위한 <악> (1992년)


20. Flute와 Piano를 위한 <흐튼가락> (1993년)


21. Soprano와 Cello와 Piano를 위한 <진혼> (1994년)

 

 

합창곡
1. 내 고향 (김안서 시, 1966년)


 

2. 즐거운 피크닉 (김석태 시, 1971년)

3. 딸 삼형제 (김동환 시, 1971년)

4. 추억 (김소안 시, 1971년)

5. 하이킹 (김소안 시, 1971년)

6. 산 너머 남촌에는 (김동환 시, 1971년)

7. 가시리 (고려가요, 1975년)

8. 푸른 하늘 고와라 (김소안 시, 1985년)

9. 부처님께 귀의합니다 (경전중 시, 1986년)

10. 뜬구름 (강야석 시, 1987년)

11. 남도타령 (문도채 시, 1989년)

12. 있으라 하신 자리에 (허형만 시, 1990년)

13. 어버이 사랑 (정석산 시, 1992년)

14. 산 위에 또 산 (정광훈 시, 1992년)

15. 목포아리랑 (허영만 시, 1992년)

16. 고향연가 (김재희 시, 1994년)

17. 흐르는 세월 앞에서 (전원범 시, 1992년)

18. 부르심 (주요한 시, 1992년)

19. 단풍잎 지는 소리 (김소안 시, 1992년)

20. 임 그리는 마음 (오명규 시, 1994년)

 

가곡

1. 자야춘가 (중국가요, 1956년)

2. 저 달로 이불을 삼고 (야상경 시, 1966년)

3. 산딸기 (고진숙 시, 1966년)

4. 국화 옆에서 (서정주 시, 1966년)

5. 춘 (윤선도 어부사시사 중, 1966년)

6. 자장가 (고진숙 시, 1966년)

7. 가시리 (고려가요, 1966년)

8. 허상 (김국원 시, 1971년)

9. 봄 비 (이수복 시, 1971년)

10. 먼 후일 (김소월 시, 1971년)

11. 물 보면 흐르고 (김영랑 시, 1971년)

12. 집시꽃 (주기운 시, 1971년)

13. 못잊어 (김소월 시, 1972년)

14. 달 있는 밤 (최계락 시, 1973년)

15. 부르심 (주요한 시, 1974년)

16. 두견새 (한용운 시, 1975년)

17. 푸른 하늘 고와라 (김소안 시. 1976년)

18. 단풍잎 지는 소리 (김소안 시, 1977년)

19. 맘 켕기는 날 (김소월 시, 1978년)

20. 기다림 (김소안 시, 1977년)

21. 청포도 (이육사 시, 1979년)

22. 승무 (조지훈 시, 1979년)

23. 연가곡 (자야가 시, 1979년)

  1) 향기는 마음 속으로
  2) 옛 생각은 잊히지 않아요
  3) 언제까지나 절 사랑 하실는지요
  4) 붉은 입술로 고운 노래나 부르지요
  5) 치마자락 여는 게 새삼 얄미워
  6) 노래 않고 어쩌나요

24. 끝없는 강물 (김영랑 시, 1980년)

25. 예전엔 미쳐 몰랐어요 (김소월 시, 1981년)

26. 내 마음 아실 이 (김영랑 시, 1982년)

27. 황홀한 달빛 (김영랑 시, 1982년)

28. 임 그리는 마음 (오명규 시, 1983년)

29. 산중문답 (조지훈 시, 1983년)

30. 빛의 딸들 (명기환 시, 1985년)

31. 춘하추동 (반영규 시, 1986년)

32. 탑돌이 (반영규 시, 1986년)

33. 이별의 노래 (정운문 시, 1986년)

34. 마음 (조지훈 시, 1987년)

35. 흐르는 세월 앞에서 (전원범 시, 1987년)

36. 아픈 껍질 벗고 (정열 시, 1987년)

37. 고사 (황금찬 시, 1987년)

38. 산 (조지훈 시, 1987년)

39. 섬색시 (김영삼 시, 1987년)

40. 가는 그림자 (주기운 시, 1987년)

41. 남도타령 (문도채 시, 1987년)

42. 청개구리 (황의돈 시, 1991년)

43. 그리운 내 고향 (허연 시, 1992년)

44. 모란골에 띄우는 연서 (명기환 시, 1992년)

45. 무등별곡 (허연 시, 1993년)

46. 참 별일이래! (주기운 시, 1993년)

47. 에피소드 (조향 시, 1985년)

48. 사랑은 (조병화 시)

49. 행복론 (조지훈 시)

50. 지는 해는 옆문으로 비껴 보이고 (김동환 시)

51. 진달래 (김동환 시)

52. 산골의 봄 (양희성 시)

53. 기다림 (조지훈 시)

54. 무등산연가 (문도채 시)

55. 고향의 들국화 (문병란 시)

56. 사연곡 (문병란 시)

 

 

작곡집

1. <향기는 마음 속에> (월간음악사, 1971년)

2. <산중문답> (태림출판사, 1985년)

3. <김정수 창작합창곡집> (목포대학교, 1992년)

 

저서

1. <기초지휘법> (안봉현과 공역, 삼호출판사, 1989년)
 

 

 
내용출처 : http://www.art.go.kr/index.jsp

'풀꽃방 > 소안 김정수(음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마음 켕기는 날  (0) 2008.08.18
[스크랩] 산 위에 또 산  (0) 2008.08.18
[스크랩] 임 그리는 마음  (0) 2008.08.18
[스크랩] 물보면 흐르고  (0) 2008.08.18
봄비  (0) 2008.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