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 교육과정 고시에 관한 보도자료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 교육과정 고시」에 관한 보도 설명 자료 |
□ 고 시 일 : 2011. 8. 9(화)
□ 교과 교육과정 개정 기본 방향
○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취지에 맞게 교과 교육과정 개정 추진
- 총론의 학교급별 편제와 시수 배당에 제시된 학년군 단위 개발
- 공통 교육과정 기간 재 설정을 고려한 내용 개발
※ 공통 교육과정 기간 10년→9년으로 조정, 기존 공통 교육과정의 성격을 갖는 고1 과목(국어, 영어, 수학, 사회, 도덕 등)은 중학교와 고등학교 관련 과목으로 내용 통합 조정
- 고교 선택과목 재 구조화
※ 교과교실제 등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과 학생들의 수준과 진로에 맞는 과목 선택이 가능하도록 수준별로 과목을 재정비 하고(기본/일반/심화), 지나치게 세분화되거나 중복된 과목, 이수 비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과목 등은 통합․조정함
○ 교육과정 내용 적정화 및 연계성 강화
- 학년군․교과군을 고려한 최소 필수학습내용 정선, 교과내용 약 20% 감축 조정
- 교과군내 교과 간, 교과 내 내용 영역간 상호 연계
- 학습자의 수준과 관심을 고려한 내용 구성으로 수업혁신 및 창의력 신장 교육 강화
○ 국가․사회적 요구사항 반영
- 창의․인성교육, 국가정체성 교육, 녹색성장교육 등 강화
- 다양한 국가․사회적 요구의 관련 교과 반영 확대
□ 교과 교육과정 개정 추진 경과
○ 교과 교육과정 개정은 다음과 같은 절차에 따라 최종 확정되었음
<교과 교육과정 개정 추진 일정> ○ 교과 교육과정 개편 구상(안)제안 (‘10. 7.30, 국가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 ○ 교과 교육과정 개정 방향 정책 연구( ‘10.10~’11.2) ○ 교과 교육과정 개정 방향에 대한 토론회 실시(2회, ‘10.12.8, ’11.1.13) ○ 교과 교육과정 개정 방향에 대한 교육과정 심의회 운영위원회 개최(’11.1.18) ○ 교과 교육과정 개정 방향 발표(’11.1.25) : 고교 선택과목 재구조화 내용 포함 ○ 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정책 연구(’11.3~8) ○ 교과 교육과정 개정(안)에 대한 교과별 공청회(’11.6~7) ○ 교육과정 심의회(교과별, 학교급별, 운영위원회) 개최(’11.7.15~27) ○ 교육과정 고시(’11.8.9) |
□ 고교 선택과목 재구조화 및 총론 개정 주요 내용
○ 기 발표한(’11. 1.25) ‘교과 교육과정 기본 방향’에 따라 총 550개의 선택과목을 510개로 재조정(상세 내용은 붙임1 참조)
※ 보통 교과 선택과목 101개→76개, 심화과목 193개→183개, 전문교과 256개→251개 등 총 550개→510개로 재조정
○ 고등학교 ‘한국사’ 과목의 필수 이수는 2012학년도 1학년부터 적용함을 총론 부칙에 명기
□ 이번에 개정 고시된 교과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교과용 도서 개발 계획이 수립․추진될 예정임(’11.8~)
□ 개정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및 교과별 교육과정은 ‘교육과정 / 교과서’ 홈페이지(http://cutis.mest.go.kr/)’에 탑재하여 활용 가능 하도록 안내하였음
□ 최근 논의된 경제교육 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추후 관계 부처 및 협회․단체 등과 협의회(TF)를 구성하여 내실 있는 경제교육이 추진될 수 있는 방안 강구
- 경제 교과서를 쉽고 재미있게 구성하여 학생들의 선택률을 높이고, 체험 중심의 경제 교육을 활성화 하는 등 경제 과목의 경쟁력을 제고하는 방안 강구
< 붙임 > 1. 고등학교 교과별 선택과목 구성 재구조화 내용
2. 경제 교육 활성화 추진 계획
< 붙임 >
붙임 1 |
|
고등학교 교과별 선택과목 구성 재구조화 내용 |
������ 국어
현행 교육과정 |
개정 교육과정 | ||
보통 |
국어* 화법과 작문Ⅰ 화법과 작문Ⅱ 독서와 문법Ⅰ 독서와 문법Ⅱ 문학Ⅰ 문학Ⅱ |
일반 |
국어Ⅰ 국어Ⅱ 화법과 작문 독서와 문법 문학 고전 |
전문*
|
문학의 이해 문장론 시 창작 소설 창작 희곡 창작 매체와 문학 고전문학의 감상과 비평 현대문학의 감상과 비평 |
심화 |
문학개론 문장론 고전문학감상 현대문학감상 시 창작 입문 소설 창작 입문 문예창작전공실기 |
※ 국어과의 전문교과(심화과목)는 예술계열 문예창작과 과목임
������ 수학
현행 교육과정 |
개정 교육과정 | ||
보통
|
수학* 수학의 활용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과통계기본 적분과 통계 기하와 벡터 |
기본 |
기초수학
|
일반 |
수학Ⅰ 수학Ⅱ 미적분Ⅰ 미적분Ⅱ 확률과 통계 기하와 벡터 | ||
전문
|
고급수학 |
심화 |
고급수학Ⅰ 고급수학Ⅱ |
������ 사회
현행 교육과정 |
개정 교육과정 | |||
보통 |
사회*, 한국사*, 도덕*, 한국지리, 세계지리, 세계사, 동아시아사, 법과정치, 경제, 사회・문화, 생활과윤리, 윤리와 사상 |
일반 |
한국지리, 세계지리, 한국사, 동아시아사, 세계사, 경제, 법과 정치, 사회․문화,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 |
전문 |
국제고 |
국제 정치Ⅰ, 국제 정치Ⅱ, 국제 경제Ⅰ, 국제 경제Ⅱ, 세계 문제, 비교 문화Ⅰ, 비교 문화Ⅱ, 정보과학, 국제법, 지역 이해, 인류의 미래 사회, 한국의 전통 문화, 한국의 현대사회, 한국어, 과제연구Ⅰ, 과제연구Ⅱ, 예능실습 |
심화
|
국제 정치, 국제 경제, 국제관계와 국제기구, 세계 문제, 비교 문화, 사회과학 방법론, 한국의 사회와 문화, 국제법, 지역 이해, 인류의 미래 사회, 과제연구 |
������ 영어
2007년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 |
개정 교육과정 | |||
보통 |
영어* 영어 I 영어 II 실용 영어 회화 심화 영어 회화 영어 독해와 작문 심화 영어 독해와 작문 |
기본 |
기초 영어 | |
일반 |
실용영어 I 실용영어 II 실용영어회화 실용영어독해와 작문 영어 I 영어 II 영어회화 영어독해와 작문 | |||
전문 |
외국어고 |
심화 영어 영어 청해 영어 회화 I 영어 회화 II 영어 독해 영어 작문 영어권 문화 I 영어권 문화 II 영어 문법 |
심화 |
심화영어 심화영어회화 I 심화영어회화 II 심화영어독해 I 심화영어독해 II 심화영어작문 |
국제고 |
영어 강독 |
������ 과학
현행 교육과정 |
개정 교육과정 | ||
보통 |
과학* 물리I 물리II 화학I 화학II 생명과학I 생명과학II 지구과학I 지구 과학II |
일반 |
과학 물리I 물리II 화학I 화학II 생명과학I 생명과학Ⅱ 지구과학I 지구과학II |
전문 |
고급 물리, 물리 실험, 고급 화학, 화학 실험, 고급 생명 과학, 생명 과학 실험, 고급 지구 과학, 지구 과학 실험, 전자 과학, 환경 과학, 과학사, 과학 철학 현대 과학과 기술, 원서 강독 정보 과학 Ⅰ, 정보 과학 Ⅱ 과제 연구 Ⅰ, 과제 연구 Ⅱ 워크숍 |
심화 |
고급 물리, 물리 실험, 고급 화학, 화학 실험, 고급 생명과학, 생명과학 실험 고급 지구과학, 지구과학 실험 환경 과학, 과학사 및 과학 철학 정보 과학, 과제 연구 |
������ 체육, 예술(음악/미술)
○ 체육
현행 교육과정 |
개정 교육과정 | ||||
보통 |
체육* 운동과 건강생활 스포츠문화 스포츠과학 |
일반 |
운동과 건강생활 스포츠문화 스포츠과학 | ||
전문 |
필수 과목 |
스포츠 개론 스포츠 경기 과학 체육과 진로 탐구 |
심화 |
스포츠개론 체육과 진로 탐구 | |
선택 과목 |
공통 과목
|
육상 운동 체조 운동 수상 운동 개인 및 대인 운동 단체 운동 체력 운동 투기 운동 빙상및설상운동 표현및창작운동 |
육상 운동 체조 운동 수상 운동 개인 및 대인 운동 단체 운동 체력 운동 투기 운동 빙상및설상운동 표현및창작운동 | ||
전공 과목 |
<스포츠경기과> 전문 스포츠 경기 체력 전문 스포츠 경기 초급 전문 스포츠 경기 중급 전문 스포츠 경기 고급 전문 스포츠 경기 실습 |
<스포츠경기과> 스포츠 경기 체력 스포츠 경기 기술 스포츠 경기 실습 | |||
<체육지도과> 스포츠교육 코칭론 건강관리 스포츠경영 및 행정 전공 실기 전공 실습 |
<체육지도과> 코칭론 스포츠경영․행정 전공 실기 전공 지도 실습 |
○ 음악
현행 교육과정 |
개정 교육과정 | ||
보통 |
음악* 음악 실기 음악과 사회 음악의 이해 |
일반 |
음악과 생활 음악과 진로 |
전문 |
음악 이론 음악사․감상 시창․청음 음악 전공 실기 합창 합주 연주 컴퓨터와 음악 교양 실기 |
심화 |
음악 이론 음악사 시창․청음 음악 전공 실기 합창․합주 공연 실습 음악과 매체 교양 실기 |
○ 미술
현행 교육과정 |
개정 교육과정 | ||
보통 |
미술* 미술과 삶 미술 감상 미술 창작 |
일반 |
미술창작 미술문화 |
전문 |
소묘 미술 이론 미술 감상과 비평 미술사 기초 회화 기초 조소 기초 디자인․공예 영상 매체와 미술 미술 전공 실기 |
심화 |
드로잉 미술이론 미술사 평면 조형 입체 조형 디자인․공예 영상 미술 미술 전공 실기 |
������ 생활․교양
○ 제2외국어
현행 교육과정 |
개정 교육과정 | |||
보통 |
독일어 I 독일어 II |
일반 |
독일어 I 독일어 II | |
전문 |
외국어고 |
기초 독일어 독일어 청해 독일어 회화 I 독일어 회화 II 독일어 독해 독일어 작문 독일어 문법 독일어권 문화 I 독일어권 문화 II |
심화 |
독일어 회화 I 독일어 회화 II 독일어 독해 I 독일어 독해 II 독일어 작문 독일어권 문화 |
국제고 |
독일어 강독 |
※ 프랑스어, 스페인어, 중국어, 일본어, 러시아어, 아랍어, 베트남어도 동일한 방식으로 개편
○ 한문 : 한문Ⅰ과 한문Ⅱ 현행 유지
○ 기술․가정 : 현행 유지
○ 교양
현행 교육과정 |
개정 교육과정 | ||
보통 |
생활과 철학 생활과 논리 생활과 심리 생활과 교육 생활과 종교 생활 경제 안전과 건강 진로와 직업 보건 환경과 녹색성장 |
일반 |
철학 논리학 심리학 교육학 종교학 진로와 직업 보건 환경과 녹색성장 |
붙임 2 |
|
경제 교육 활성화 추진 계획 |
������ 추진 배경 및 필요성
○ 글로벌 사회에서 초․중․고 경제교육 강화 필요성 대두(경제교육지원법 제정, 2009)
○ 고등학교 ‘경제’ 과목에 대한 학생들의 선호도 제고방안 강구 필요
������ 경제 교육 활성화 추진 현황
○ 교원 체험 경제 연수 확대 및 연수 다양화
- 교장․교감 자격 연수 및 교사 등 경제 관련 프로그램 개설․운영(’11년)
※ ’10년 실적 : 과정수(79), 과목수(123), 인원수(9,565명)
○ ‘시장 경제 바로 알기’ 등 사이버 직무연수과정 연수 확대
※ 교원, 교육전문직, 일반직 공무원 대상(’10년 3,416명 이수, ’11년 4,000명 이상 진행 중)
○ 경제 교육 연구학교 지정 확대
※ ’10년 전국 48개교 → ’11년 전국 111개교 지정 운영(전년 대비 231% 증가)
������ 향후 추진 계획
○ 경제교육 활성화 협의회(T/F) 구성․운영
- (구성) 교과부, 기재부 업무 담당자 및 경제교육협회, 경제교육학회, 경제단체, 정부출연기관, 교육과정 전문가 등 참여
- (운영 기간) ‘11.9월 ~ 12월
- (기능) 학교에서 경제교육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다각적인 방안 강구
○ ‘경제’ 과목 경쟁력 강화 방안 마련 추진
- 쉽고 재미있는 교과서 개발을 통해 학생들의 과목 흥미도 제고(’11.9~)
○ 창의적 체험활동 또는 단위학교의 자율적인 교양 선택과목 신설 등을 통해 생활속의 경제를 체험할 수 있도록 관련 자료 개발・보급(’11.9~)
○ 쉽고 재미있는 경제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회과 교사 대상 ‘경제’ 과목 교수・학습방법 개선 연수 확대(’12.1~)
○ 기타 고교 과정에서 경제교육을 활성화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 강구(’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