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실 밖 자료실/교육 자료

[스크랩] 좋은 수업을 실천하기 위한 교사 연수 자료

풀꽃(muse417) 2009. 6. 7. 23:37

좋은 수업을 실천하기 위한 교사 연수 자료


좋은 교사 ․ 좋은 수업의 조건을 알고 학생에게 올바른 학력을 형성시켜 줍시다.

Ⅰ. 성공적인 수업을 위한 10가지 수업 원리


1. 시작하며 : 원리를 공부하자

  원리란 인간의 의사결정과 행동을 이끄는 기본적인 개념이나 이 원리들은 실질적인 절차도 아니고 상황적으로 구체적인 것도 아니어서 포괄적이고 일반적인 지침이지만, 교사들의 행동 관찰과 교수에 관한 연구서, 교수 이론들로부터 원리와 절차를 이끌어 냈다.


2. 원리(principles) 대 절차(procedures)의 논쟁

 (1) 절차 옹호자 : 원리란 단지 이론의 표현일 뿐이고 상아탑의 산물이며 하늘의 떡이나 마찬가지다. 이론은 가르치는 방법을 향상시키기에는 충분하지 않으며 효과적이기 위해서 교사들은 어떻게 수업을 이끌고, 예를 제시하며, 매체를 사용하고, 교수계획을 작성하는지에 관한 절차를 배워야 한다.

 (2) 원리 옹호론자 : 교사가 절차만을 안다면 상황이 적절하지 않을 때, 또는 절차대로 했지만 절차가 제대로 작용하지 않을 때, 교사는 어떻게 할 것인가? 이럴 때 원리를 안다면 교사는 상황에 맞는 새로운 절차를 만들어 낼 수 있고,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대응할 수 있지 않겠는가?

 (3) 어떤 것이 옳은가? : 실제로 가르치기 이해서는 절차를 배워야 한다. 그러나 융통성을 갖고, 현명하고, 상황에 적응할 수 있는 교사가 되기 이해서는 원리를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3. 훌륭한 교사들의 특성

 (1) 그들의 학과목 또는 전공에 관심을 기울인다.

 (2) 그들의 학생들에게 관심을 갖고 있다.

 (3) 가르치는 일을 즐거워한다.

 (4) 10가지 교수 원리를 실천에 옮긴다.


4. 10가지의 교수 원리들

 (1) 의미있는 학습(meaningfulness) : 배워야 할 내용들이 학생들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와 어떤 관련이 있는가를 알게 해 주어 동기를 불러일으킨다.

 (2) 선수 지식(prerequisites) : 학생들의 현 지식수준과 기량을 분석하여 학생들 수준에 맞게 조절하여, 학생들이 알고 있는 것을 기반으로, 다음 단계의 지식을 형성할 수 있게 해 준다.

 (3) 열려있는 수업환경(Open communication) : 학생들이 배워야 할 것을 알려주어 배워야 할 것에 집중하게 한다.

 (4) 조직된 핵심적인 내용(Organized Essential Content) : 배우기 쉽고 기억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중요한 개념에 집중하여 체계화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5) 학습 보조 도구(Learning Aids) : 배우는 것을 쉽게 하고 빠르게 하기 위하여, 학습 도구를 사용하는 것을 도와준다.

 (6) 신선함(Novelty) : 학생들의 주의를 집중시키고 관심을 이끌기 위하여 가르치는 동안 자극을 다양하게 한다.

 (7) 모델링(Modeling) : 학생들이 실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학생들이 어떻게 기억하고, 생각하고, 문제를 해결하는지를 보여준다.

 (8) 활발하고 적절한 연습(Active Appropriate Prectice) : 회상하고, 생각하고, 수행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연습을 하게 하여, 학생들이 그들의 학습을 적용하고 숙달되도록 한다.

 (9) 즐거운 학습의 결과(Pleasant Conditions and Consequences) : 배우는 것을 즐겁게 하여 학생들이 배운 것을 편안한 마음으로 받아들이고, 배우는 것을 만족하며, 계속해서 배우면서 배운 것을 사용하도록 한다.

 (10) 일관성(Consistency) : 목표, 시험, 연습, 내용, 설명의 일관성을 유지하면, 학생들이 원하는 것을 배울 것이고, 교수 상황 밖에서 학습한 것을 사용할 것이다.


5. 원리를 적용한 수업 전개 방법

 (1) 의미 있는 학습(meaningfulness)

  지침1. 학생들이 의미 있는 연관성을 갖도록 체계적으로 4단계를 사용한다.

        ① 학습동기를 측정한다.

        ② 학습주제와 학생들의 동기를 연결시켜 줄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본다.

        ③ 학습주제와 학생들의 동기를 연결시켜 준다.

        ④ 학습주제와 학생들의 동기를 연결하고 그 결과를 점검한다.

  지침2. 학생들이 의미 있는 관련을 갖도록 계속해서 도와준다.

        ① 수업 전, 수업 시작, 수업동안, 수업 후에도 의미 있는 관련을 갖도록 한다.

 (2) 선수 지식(Prerequistes)

  지침1. 필수과제(required tasks)의 선수지식을 분석한다.

        ① 과제(task)를 기술한다.

        ② 과제 기술(task description)을 분석한다.

        ③ 핵심적인 선수지식(essential prerequisites)을 결정한다.

        ④ 핵심적인 선수 지식을 좀 더 자세히 분석한다.

  지침2. 학생들이 무엇을 알고 있는지를 측정한다.

        ① 선수지식을 사전에 측정하지 않음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예측한다.

        ② 선수지식을 사전에 측정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예측한다.

        ③ 선수지식을 효율적이면서도 신중하게 측정한다.

  지침3. 분석한 선수지식과 학생들의 지식을 연결하는 수업을 설계한다.

        ① 학생들 간의 개인차에 맞는 적절한 전략을 선택한다.

        ② 학생들 간의 개인차에 맞는 6가지 전략을 선택한다.

           (자습, 개별지도, 소집단 지도, 소집단 협동학습, 전체에게 요점 정리, 다른 방법 탐색)

 (3) 열려있는 수업 환경(Open Communication)

  지침1. 학생들을 준비시킨다.(orient)

        ① 목표를 제시한다.

        ② 시험문항의 예를 제시한다.

        ③ 최종적으로 기대되는 과제의 예들을 제시한다.

        ④ 개관을 제시한다.

        ⑤ 수업의 순서를 제시한다.

        ⑥ 수업 내용 자료를 제시한다.

  지침2. 학생들에게 피드백을 준다.

        ① 학생들의 성취도(performance)에 반응한다.

        ② 학생들의 질문에 대답한다.

        ③ 학생들의 태도에 반응한다.

  지침3. 교사에 대한 학생들의 피드백에 반응한다.

        ① 교사가 원하는 정보가 무엇인지를 결정한다.

        ② 자료 수집 방법을 결정하고 질문을 작성한다.

        ③ 수업 중에 적합한 한 단원을 끝내면 정보를 수집한다.

        ④ 정보를 집계한다.

        ⑤ 변화에 대한 결정을 내린다.

        ⑥ 학생들에게 다시 알려준다.

        ⑦ 고칠 점을 실행에 옮긴다.

 (4) 조직된 핵심적인 내용(Organized Essential Content)

  지침1. 핵심적인 내용을 추출한다.

        ① 과제 기술(Task Description)에서 핵심적인 내용을 선정한다.

        ② 학습해야 할 사실적 정보(facts), 개념(concept), 원리(principles), 그리고 기술(skills)을 가르치기 위한 핵심적인 내용을 선정한다.

        ③ 핵심적이 예(essential examples)를 선정한다.

  지침2. 핵심적인 내용을 조직한다.

        ① 강좌내용(course content)을 조직한다.

        ② 단원(unit)과 수업(lesson)의 내용을 조직한다.

  지침3. 핵심적인 내용을 조직적인 방법으로 제시한다.

        ① 강좌의 내용을 제시한다.

        ② 주어진 구조 내에서 한 단원에서 다른 단원으로 이동한다.

        ③ 조직되어지고 단순화된 방식으로 수업을 제시한다.

 (5) 학습 보조 수단(Learning Aids)

  지침1. 보조 수단을 선정한다.

  지침2. 보조 수단을 사용한다.

        ① 학습 보조수단을 주요 교수 교구로 사용한다.

        ② 학습 보조 수단을 수업의 일부분이지만 교수 도구로 사용한다.

        ③ 학습 보조수단을 유일한 교수의 수단으로 사용한다.

  지침3. 학습 보조수단이 가져올 있는 문제점들을 예측한다.

        ① 학습 보조수단은 학생들에게 학습을 너무 쉽게 만들수도 있다.

        ② 학생들은 학습보조수단이 없으면 성취하지 못할 수도 있다.

 (6) 신선함(Novelty)

  지침1. 주의를 끌고 유지한다.

        ① 교사인 당신의 행동을 다양화한다.

        ② 프로그램을 다양화한다.

        ③ 테크닉을 다양화한다.

        ④ 창의적으로 가르친다.

        ⑤ 유머, 긴장감, 충격, 그리고 놀라움을 도입한다.

        ⑥ 학생들에게 주의를 집중하는 법을 가르친다.

  지침2. 학생들에게 집중을 유도한다.

        ① 학생들이 중요한 단서에 주의를 집중하도록 매체를 이용한다.

        ② 요점을 강조한다.

  지침3. 호기심을 불러 일으켜라.

        ① 질문을 사용한다.

        ② 문제를 해결하는 게임(puzzling event)이나 시범을 이용한다.

 (7) 모델링(Modeling)

  지침1. 수행하는 것을 시범을 통해 보여주기 위해 4단계 방식을 사용한다.

        ① 학생들에게 그들이 본 시범을 나중에 수행해야 할 것임을 알려준다.

        ② 시범을 보여주기 전에 학생들이 시범 중 무엇을 주의 깊게 보아야 하는지를 알려준다.      

        ③ 각 단계를 말한 다음 시범을 보여준다.

        ④ 학생들이 실제로 연습하기 전에 각 단계를 기억하도록 한다.

  지침2. 사고하는 기술(Thinking Skills)을 시범을 통해 보여주기

        ① 학생들에게 시범되어질 사고하는 기술을 나중에 수행해야 함을 알려준다.

        ② 시범을 보여주기 전에 학생들에게 사고하는 기술에 대한 시범을 볼 때 무엇을 주의깊게 보아야 하는 지를 알려준다.

        ③ 각 일반적인 단계를 먼저 말한 다음 시범을 보여준다. 이 때 교사는 구체적인 사례에 사고 단계를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를 큰 소리로 말해준다.

        ④ 학생들이 실제로 연습하기 전에 각 단계들을 기억하도록 한다.

  지침3. 태도(Attitudes)를 시범을 통해 보여주기 위해 다음의 4단계를 사용한다.

        ① 학생들에게 전체적인 수행의 한 부분으로서의 태도를 나중에 보여주어야 함을 알려준다.

        ② 시범을 보여주기 전에, 학생들에게 태도를 나타내는 지침으로서 무엇을 주의깊게 보아야 하는 지를 알려준다.

        ③ 각 태도를 나타내는 지침을 먼저 말한 다음 시범을 보여준다.

        ④ 학생들이 연습하기 전에 태도를 나타내는 지침들을 기억하도록 한다.

  지침4. 교사의 전문적인 태도를 보여준다.

        ① 성숙하고 도덕적인 전문가처럼 행동한다.

        ② 학과목, 학생들의 학습, 그리고 가르치는 것에 대한 고나 심을 보여준다.

        ③ 일에 대한 열정과 즐거움을 보여준다.

 (8) 활발하고 적절한 연습(Active Appropriate Practice)

  지침1. 활발한 개별연습을 제공한다.

        ① 모든 교수 현장에 활발한 개별 연습을 제공한다.

        ② 개별적인 활발한 연습을 극대화한다.

  지침2. 적절하고 현실적인 연습(Appropriate Realistic Practice)을 제공한다.

        ① 연습환경과 행동을 실제와 같도록 설계한다.

        ② 시험과 지식의 종류와 맞게 연습을 설계한다.

        ③ 사고하는 기술의 연습(Mental Skill Practice) 중에 생각하는 모든 것을 표현하도록 요구한다.

        ④ 연습을 수업 시간을 이용하여야 할 것이지 과외시간을 이용하여 할 것인지를 결정한다.

  지침3. 연습을 섬세하게 조정한다.(Fine-Tune Practice)

        ① 도전이 요구되는 연습을 제시한다.(Challenging Practice)

        ② 몸에 배어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정도로 연습을 시킨다.(Automaticity)

        ③ 융통성을 장려한다.(Flexibility)

        ④ 다양한 연습을 제시한다(Vary Practice)

        ⑤ 혼자 연습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Independent Practice)

        ⑥ 연습을 분명하게 제시하고 지도한다.(Clearly Specify and Guide Practice)

        ⑦ 연습 시간을 적절하게 배분한다.(Distribute Practice)

        ⑧ 수준별로 연습을 제공한다.(Advanced Practice)

        ⑨ 학생들이 연습하도록 동기부여를 한다.(Motivate)

        ⑩ 연습을 검토하고 시간을 절약하기 위한 점검표를 사용한다.

        ⑪ 학생들에게 연습에 대한 책임을 지도록 한다.

 (9) 즐거운 환경과 결과(Pleasant Conditions and Consequences)

  지침1. 즐거운 환경과 학습을 연관시킨다.

        ① 수업 전에 즐거운 환경을 제시한다.

        ② 수업 중에 즐거운 환경을 제시한다.

  지침2. 즐거운 결과를 제시한다.

        ① 자연스럽게 가치 있는 결과가 오도록 과제를 가르친다.

        ② 하위기능들에 대한 보상으로 피드백과 칭찬을 사용한다.

        ③ 바람직한 행위를 보상하기 위해서 체계적인 접근법을 사용한다.

        ④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에 대해서는 분명하게 반응한다.

        ⑤ 환경, 행위, 그리고 결과를 예상함으로서 바람직하지 못한 행위를 방지한다.

 (10) 일관성(Consistency)

  지침1. 일관된 교수요소들((Instructional Elements)을 만들어 낸다.

        ① 현실세계의 수행목적을 수업의 최종목표와 연관시킨다.

        ② 내용을 목표와 연관시킨다.

        ③ 교수방법을 목표와 연관시킨다.

        ④ 시험을 다른 모든 구성요소들과 연관시킨다.

        ⑤ 모순되는 것에 주의한다.

  지침2. 교수와 현실 세계 사이에 일관성을 만들어낸다.

        ① 교수환경을 넘어선 전이를 장려한다.

        ② 전이를 촉진하기 위해 MASS 모형을 사용한다.

        ※MASS(Motivation, Awareness 인식, Skill, Support 지지)


*Stephen L. Yelon 原著, 최성희․이인경․신준영 共譯, 성공적인 수업을 위한 10가지 교수 원리, 서울:도서출판 길안사, 1998. (363 page, 10,000원)

 

 

 

출처 : 마지막 춤을 그대와 함께
글쓴이 : 마지막 춤을 그대 원글보기
메모 :